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미국은 베트남 상화의 악화에 따라 점진적으로 전투 병력을 증강하였다, 즉 베트남 전쟁의 미국화 추진으로 베트남전쟁에 개입하였다.

제2차 베트남전쟁의 미국화(1964. 8. 2~1968. 3. 31)

베트남전쟁은 적에 실체에 대한 정확한 판단 없이 병력의 축차적 투입과 중공과의 세계전쟁을 우려한 미국의 제한전쟁이었다. 그리고 남베트남 정부의 정통성에 대한 국민들로부터 지지가 결여되었다. 그러나 당시 동·서 냉전의 첨예한 대결 속에서 중공 정권 수립과 6·25전쟁, 인도네시아의 공산 세력의 확산 등으로 미국은 공산주의 확산을 방지한다는 명분으로 베트남전쟁에 점진적으로 개입하게 된다.

1963년 12월 20일, 하노이 정부는 정부군의 남부 침투와 미군에 대한 직접 공격을 의결했다. 1964년 2월 3일, 민족해방전선이 중부 지방 곤둠의 미군 고문단 숙소를 습격하고, 4월 25일 부로 웨스트모랜드 장군이 베트남 미군사령관에 임명되었다.

베트남전쟁의 미국화는 1964년 8월 2일, 동낑 만 사건에서부터 시작되어 1968년 3월 31일, 존슨 대통령의 제37대 미 대통령 불출마 선언과 북폭 중지 결정까지이다.

1964년

동낑 만 사건은 8월 2일, 동낑 만을 순찰 중이던 미 구축함 매독스호가 북베트남 어뢰정 공격을 받았다. 4일에도 공격을 받았으나 피해는 없었다.

존손은 이를 계기로 보복 공습을 명령 해 미국의 함재기들이 하이퐁 근처의 해군 기지 4개소와 빈 의 유루 저장 시설을 폭격했다. 그리고 8월 7일, 베트남에서 군사행동에 관한 백지 위임을 의회에 요청했고, 의회는 존슨의 요청을 상원에서는 88 : 2, 하원에서는 구두 표결에 의해 416 : 0으로 가결했다.

1965년

1965년 정월은 남베트남 전역에서 공산주의자가 가장 활발하게 활동한 기간이었다. 민족해방전선과 북베트남군은 납북으로 길게 뻗은 남베트남에서 도시·마을·군사 기지에 공격을 감행하여 남베트남군은 막대한 사상자를 냈으며, 이들은 중부 고원지대로부터 동지나 해안 쪽으로 밀고 내려와 남베트남을 양분시켰다. 2월 초 민족해방전선은 중부 고원지대에 있는 미 군사시설과 헬기 기지를 공격했으며 2월 8일, 존슨 대통령은 남베트남군과 미국 공군, 미 해군 항모 탑재기를 동원해서 신중하게 선정된 DMZ 북방의 군사목표에 조직적인 폭격을 개시하라고 명령했다. 3월 8일, 미군 제9해병여단이 DMZ 70마일 남방에 위치한 남베트남에서 두 번 째 큰 도시인 다낭에 상륙했고 미 군사 지원시설을 공격하는 게릴라를 격퇴하기 위하여 즉각적인 전투행동에 돌입했다. 그래서 미국은 중공과 소련의 지원을 받는(양국은 상호협조없이 따라 따로 지원함) 북베트남군과 민족해방전선과 싸우는 미군을 점차 증강시키기 시작했다

이리하여 미국은 가장 인기가 없는 전쟁에 돌입하게 된 것이다. 그 전쟁은 고정된 전선이 없었다. 즉 적은 여기저기 어느 곳에도 존재했다. 적의 군사행동은 일찍이 대 프랑스 전쟁에서 성공한 베트민군의 지도자인 Vo Nguyen Giap 에 의해 주도되었다. 그는 조직적으로 게릴라전을 수행했다. 미 지상군은 이 재래전을 현대적인 관점에서 볼 때, 단 한 건의 주요한 전투도 없이 수 많은 조우전 밖에 존재하지 않는 전쟁에서 오직 그들이 주둔했던 땅 만을 고수했다. 베트남전쟁, 주마등처럼 펼쳐지는 잔인한 전투, 정치 및 사회적 분규 그리고 끊임없는 좌절, 이런 것들이 미국가정에 TV를 통해 방영되었으며, 병력은 민간 비행기를 타고 그런 지역에 공수되었다. 그리고 각 군 작전은 워싱턴의 정치적 고려사항에 의해 좌우되었으며 미국무성, 미 해외정보국, 국제개발처, 미 중앙정보부 기타 남베트남에 위치한 민간기관들 뿐만 아니라 미 국방성의 과도한 낙관적 견해로 인하여 빈번하게 큰 영향을 받았다. 7개의 추가된 미 지상군 대대와 1개 공군 비행대대의 신속한 투입과 B-52 폭격기에 의한 게릴라 기지의 맹폭에도 불구하고 1965년 중반까지도 군사상황은 전혀 호전되지 않았으며 급기야 존슨 대통령은 미 전투부대의 대량 투입만이 남베트남군의 패배를 방지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미군은 영토전체를 점령하거나 장악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북베트남군 병력과 민족해방전선의 근거지를 제거하기 위한 수색 및 격멸작전 임무를 수행하며 요새화된 기지에서 작전했다. 포위공격을 제외한 전투는 심지어 큰 작전에서 조차도 소대 내지 대대규모에 불과한 충돌로 이루어 졌다. 도처에 있는 무장 공격헬기, 인원수송 헬기 또는 수송기, 부상자의 구조나 후송차량은 미군 또는 동맹국에게 놀랄만한 작전의 융통성을 제공했다.

1966년

1966년 중반의 미군은 주요 공산군 부대나 근거지를 발견하고 파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공격을 개시하였으나 이것이 아무른 진전없는 장기적인 공세의 시작이었다. 그 공세는 짧고 신속한 공격이 아니라 오랫동안 계속되는 소탕작전이 되었다는 점에서 초기의 수색 및 격멸작전임무와는 달랐다.

작전은 중부 고원지대와 사이공 주변성에서 수행되었으나 그들이 호되게 공격 받을 때, 지형을 더 잘 알고 있는 게릴라들은 대부분의 경우 접촉을 끊고 정글 속으로 사라질 수 있었다. 동맹군의 소탕작전이 물러가면 게릴라는 다시 그들이 전에 있었던 지역으로 되돌아왔다.

1967년

커다란 “Cedar Falls"와 “Junction City"의 두 작전을 수행하고 메콩 삼각주에 척 번 째 미군 기지를 완성했음에도 불구하고 게릴라는 재집결하여 라오스, 캄보디아 국경과 DMZ 남부에 연해 있는 미군기지에 대한 작전을 계속할 수 있었다. 이러한 작전에서 힘을 얻은 적들은 이러한 공격기세를 이용, 68년 구정공세 때는 최고조에 달했다.

1968년

이 게릴라의 기습적인 공세는 현지 지휘관의 낙관적인 보고가 미국민에게 널리 알려진 바로 뒤에 행해졌다. 공세의 규모 및 범위와 치열함은 미국 국민들에게 크게 충격을 주게 되어 남베트남으로부터 미군을 철수하라는 여론이 들끓게 되었다. 이와 같이 비록 구정 공세가 게릴라로 볼 때는 군사적인 면에서 전술적인 패배였지만(그들은 막대한 병력손실을 입은 데다가 실질적으로 새로운 지리적인 발판을 얻지 못했으며, 남베트남 사람들로부터 많은 지지를 못 얻었음) 북베트남이나 민족해방전선에게 있어서는 하나의 주요한 전략적 승리였다.

붕따우에 상륙하는 미제1보병사단
붕따우에 상륙하는 미제1보병사단

케산전투 지역
케산전투 지역

자유세계 우방군 배치도
자유세계 우방군 배치도

케산전투 상황도
케산전투 상황도

※ ‘베트남전쟁의 미국화’에 대해 더 알고 싶으면?

  • ⓛ 유제현, 『월남전쟁』, 한원, 1992, pp. 331∼352
  • ② 최용호, 『한권으로 읽는 베트남전쟁과 한국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4, pp. 109∼111. pp. 354∼363(안케고개 전투)
  • ③ 베트남 인민군대출판사·이미선 역, 『항미전쟁의 종결』, 국방부 군사편찬연 구소, 2009, pp. 63∼78
  • ④ George C. Herrring, 'The Easter Offensive' America's Longest War, fourth ed. 2002, pp. 304∼310
하단배경영역